이재명 죽이기 [단독] “쌍방울 대납, 이재명 인식한 물증”이라더니...검찰이 공소장에 쓴 경기도 문건, 이재명 결재문건 아니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허재현기자 댓글 0건 조회 6,093회 작성일 24-06-24 12:21

본문

f37e47b216f9116bb5f46656c3389c22_1719199000_4265.png

[사진설명] 이재명 지사까지 결재한 문건(왼쪽), 이화영 부지사까지만 결재한 문건(오른쪽). 쌍방울 관련 흔적이 담긴 문건(오른쪽)은 이재명 지사의 결재문건이 아니다.
 


 검찰이 “김성태 쌍방울 회장 등과 만찬하는 사진 등이 첨부된 '이화영 중국 출장 보고서'가 이재명 당시 경기도 지사에게 보고되었다”고 이재명 대표의 공소장에 적시했지만 해당 보고서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결재하지 않은 문건으로 <리포액트> 취재 결과 확인됐다. 그러나 대부분 언론은 검찰 공소장에만 기대어 '이 대표가 쌍방울 대북송금을 인식했을만한 정황이 담긴 물적 증거'라는 취지로 보도하고 있다. 


  '대북송금 사건'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공소장(제3자 뇌물 혐의)을 보면, 검찰은 “이재명은 2019년 1월 하순경 중국 출장에서 복귀한 피고인 이화영으로부터 '중국 출장에서 쌍방울 그룹 관계자와 북한 측 인사를 만나 황해도 스마트팜 사업 및 이보다 더 확대된 농립복합형 시범마을 등 남북교류협력사업, 도지사가 기업고찰단의 방북에 동행하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내용과 함께, 국외 출장 결과보고서에 '중국 내 한국기업 간담회','참석자:경기도 평화부지사,평화협력국장, 북측 송명철 부실장, 조정철 참사, 기업 쌍방울 관계자, 주요 내용:도-국내기업 간 북한 공동진출 방안 협의'라는 내용과 그 바로 아래 이화영 및 신명섭,김성태,안부수,북한 송명철 등이 나란히 앉아 술을 마시며 만찬을 함께 하는 사진이 첨부된 문건을 보고받는 등 김성태의 대납 약속과 그에 따라 경기도의 지원·보증 하에 쌍방울 그룹이 대북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였다”고 썼다. 


그러나 <리포액트>가 확보한 경기도의 공문을 보면, 당시 이 전 부지사가 중국으로 출장 전에 작성한 계획보고서와 출장후 작성한 결과보고서 두 종류가 있었다. 이중 △도지사 방북 협의 등 내용이 담긴 '출장 전 계획 보고서'는 이재명 지사에게 보고되고 결재까지 이뤄졌지만, △쌍방울 관계자 등과 만찬이 이뤄진 사실을 담은 '출장 후 결과 보고서'는 이화영 부지사에게까지만 보고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이 '쌍방울 그룹이 대북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재명 지사가 보고받고 결재했다’고 주장한 문건은 이 지사가 아닌 이화영 부지사까지만 결재가 이뤄진 '출장 후 결과 보고서'로 드러났다. 


출장 계획 보고서는 2018년 10월18일 이재명 지사에게 상신돼 결재가 실제 이뤄졌다. 문건 내용을 보면, “이화영 부지사가 5박6일간 북경,평양 등을 방문해 남북교류협력 사업 6개항 등 전반적 사항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 담겼다.  △경기도지사 방북을 위한 관계자 협의, △황해도 농림복합형(스마트팜) 시범 농장 (지원) 사업 등의 내용이 이 문건에 적혔다. 이 문건에는 쌍방울 등의 언급은 일체 담기지 않았다. (첨부 사진 참조)



다만, 출장 결과 보고서는 2019년 1월23일 이화영 부지사까지만 결재가 이뤄졌다. 문건 내용을 보면, “중국 심양,북경에서 2019년 1월17일~1월20일 3박 4일간 도내 기업과 중국 기업의 북한 공동 진출 협의” 등이 적혔다. 이 문건에 검찰이 주장하는 '김성태 회장 등과의 만찬 사진'이 담겨있는 듯 보이지만 이화영 부지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모자이크 처리되어 있거나 'OO 기업이 참석했다'는 식으로만 기재했다. 쌍방울 기업 이름은 가려진 채 문건이 작성되었다. (첨부 사진 참조)



f37e47b216f9116bb5f46656c3389c22_1719199025_0569.png
 

[사진설명] 이재명 지사가 결재한 '이화영 출장 계획 경기도 문건'에는 쌍방울 등 흔적이 없다.



f37e47b216f9116bb5f46656c3389c22_1719199040_9329.png
[사진설명] 쌍방울 흔적이 담긴 출장 후 보고 문건은 이재명 지사가 아닌 이화영 부지사에게까지만 결재가 이뤄졌다.

 


하지만 검찰은 이 두 보고서를 뒤섞어 공소장에 기재해 모두 이재명 지사에게 보고된 문건인 것처럼 '눈속임 전략'을 취한 듯 보인다. 검찰은 이 대표 공소장에 두 문건에 대한 자세한 구분과 설명을 담지 않았다. 당시 중국 출장에 동행한 신명섭 경기도 평화국장은 <리포액트>와 한 통화에서 “'출장 전 보고서'는 방북 추진 등 중요 내용이 담겨 이재명 지사에게까지 결재가 이뤄졌지만 막상 출장 당시 별다른 성과를 낸 게 없어 '출장 후 보고서'는 이화영 부지사에게까지만 보고가 되었다. 사업이 큰 성과를 내지 못했을 경우 부지사 전결까지만 진행되는 문건들도 많았고 지사에게 보고되지 않는 게 더 일반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쌍방울 관계자 등의 흔적이 담긴 '이화영 출장 후 결과 보고서'를 이재명 지사가 결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이재명 지사가 쌍방울 대북 송금을 인식했다”는 검찰 주장은 설득력이 크게 흔들릴 수 밖에 없다. 또 이재명 지사의 결재 여부와 상관없이 검찰이 확보한 경기도 문건 어디에도 대북 송금 등의 내용은 적혀 있지 않다.  김성태 회장의 주장 외에는 쌍방울 대북 송금을 이재명 지사가 인식했다고 볼만한 물적 증거는 없는 셈이다.


한편, 이화영 부지사가 중국 출장을 가서 북한 간부 등을 만나고 온 시기와 김성태 회장이 중국 출장을 간 시기가 겹친 것에 대해 이 전 부지사 쪽은 “안부수가 그렇게 일정을 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19년 1월 당시 안부수씨는 아태협 회장으로서 경기도의 대북사업에도 개입하고 나노스(쌍방울 자회사) 이사로서 쌍방울의 대북사업도 주도했다. 북한 고위급 간부를 중국으로 두번씩 불러내기 곤란한 안부수씨가 2019년 1월 중순 중국으로 북한 간부를 불러내어 김성태 회장과 이화영 부지사를 차례대로 만나게 했다는 설명이다.



f37e47b216f9116bb5f46656c3389c22_1719199061_2345.png


f37e47b216f9116bb5f46656c3389c22_1719199700_3805.png
 [사진설명] 검찰 공소장에 기대어, <한겨레>등 대부분 언론이 이재명 지사가 결재 하지 않은 문건을 이 지사가 결재한 문건처럼 보도하고 있다. 


허재현 <리포액트> 대표기자
 

허재현 <리포액트> 대표 기자 repoact@hanmail.net​
대안행동 탐사 언론 리포액트는 여러분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청소년보호정책관리자

회사명리포액트제호리포액트사업자등록번호서울,아52484사업자등록일자2019년7월12일발행인허재현편집인허재현
발행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618-24 아우렌소호 18호 리포액트발행일자2019년 7월12일주사무소발행소와 같음연락처repoact@hanmail.net

Copyright © repoact, All Rights Reserved.